Git이란?

Git은 리눅스의 창시자 리누스 토발즈가 리눅스의 각 버전들을 관리하기 위해 만든 버전 관리 프로그램이다.

Git 시작

git으로 버전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git에게 현재 디렉터리를 관리를 요청해줘야 한다.

이 명령어를 치면 .git이라는 디렉터리가 생기는데 이 디렉터리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들이 변화되는 과정을 저장하고 있다

만약 관리하고 싶지 않은 디렉토리나 파일이 있다면. gitignore 파일을 생성해준 다음 관리하고 싶지 않은 디렉터리나 파일명을 작성해주면 된다.

Git의 작업 순서도

Git의 작업 영역

Git에는 크게 3가지 종류의 작업 영역이 존재한다.

Git은 위에 작업 순서도 그림처럼 Working Directory에서 Staging Area를 거쳐 Repository에 반영이 된다.

Working Directory (작업 디렉터리)

현재 코드를 작성하고 있는 공간 (작업 디렉터리)를 의미한다.

이 영역에는 두 가지 상태가 존재한다.

  • Tracked (추적)
    • 한 번이라도. git에 의해 관리된 적이 있는 파일
  • Untracked (추적되지 않음)
    • 한번이라도 .git에 의해 관리된 적이 없는 파일

Working Directory에서 작업한 내용을 Repository에 기록하고 싶다면 먼저 Staging Area에 등록을 해야 한다.

# 현재 위치에서 전체 파일 및 디렉터리 등록
git add .

Staging Area (대기소)

Repository에 기록하기 전 중간다리 역할을 한다.

Repository에 기록하기 전에 진짜 기록을 할 건지 마지막으로 물어보는 과정이라 볼 수 있다.

이 명령어를 치면 Editor가 뜨게 되는데 그곳에 commit 메시지를 작성해 주면 된다.

만약 Editor 없이 바로 commit 메시지를 작성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해주면 된다.

Repository (.git)

commit들이 저장되는 영역으로 Working Directory의 변경 이력들이 기록되어 있는 영역이다.

git init시 생성되는. git 디렉터리이기도 하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 Branch  (0) 2022.11.24
[Git] 이전 commit으로 돌아가는 명령어  (0) 2022.11.23